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현대차, 자율주행차 '라이다'에서 '카메라'로 급선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요트맨
작성일 2025.04.08 08:53
분류 자동차
4,652 조회
4 추천

본문

송창현 포티투닷 대표 주도 카메라 전환··· 라이다보다 큰 비용 감수해야

...
1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해 말부터 자율주행 사업부 내 라이다(LiDAR) 기반 프로젝트를 사실상 중단했다. 대신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송창현 현대차 사장겸 포티투닷 대표가 이 프로젝트를 진두지휘하고 있다.

송 사장은 차세대 차량 플랫폼을 총괄하는 AVP 본부장을 겸직하고 있다. 송 사장은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은 내재화"라며 "외산 모듈 의존도가 높은 라이다보다 엔드투엔드 설계가 가능한 카메라가 적합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메라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은 송 사장이 대표로 있는 포티투닷이 전담한다. 서비스형 자율주행 운송(TaaS) 전문에 카메라 자율주행을 기반기술로 둔 포티투닷은 2019년 설립, 2022년 현대차에 인수합병됐다. 현대차와 기아가 각각 지분을 약 57%와 38% 보유하고 있다.

최근 현대차는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포티투닷 주도 하에 레벨2+ 카메라 자율주행 시스템 '아트리아 AI'를 공개했다. 조직 내부에만 알려져 있던 카메라 자율주행 전략을 공공연하게 드러낸 것이다. 카메라 8대와 레이더 1개로 구성된 아트리아 AI는 내년 소프트웨어정의차량(SDV)의 시범 차량에 접목하고 2027년 말 양산 차량에 적용한다.

◇ "카메라가 더 싸다"는 옛말... 오히려 더 값비싼 선택일지도

라이다는 3차원 공간을 정밀하게 인식하는 센서 모듈이다. 평면(x·y축)과 깊이(z축)를 함께 측정할 수 있어 객체 식별과 거리 판단에서 신뢰도가 높다. 유럽 최대 자동차 부품업체 발레오가 현대차의 주요 라이다 공급업체다. '스칼라'라는 라이다 모듈을 공급한다.

한 때 라이다는 고가의 부품으로 여겨졌다. 단가가 2000달러를 훌쩍 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 발레오를 비롯한 글로벌 공급사들이 라이다 가격을 1000달러 이하로 절반 가까이 인하해 상황이 달라졌다. 발레오는 라이다에 필요한 광학·전자 소자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계하고 불필요한 기구적 요소를 제거해 단가를 낮췄다. 작년 출시한 스칼라 3의 가격이 500에서 800달러 사이다.

반면 카메라는 2차원(x·y축) 이미지만 처리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다소 떨어진다. 깊이(z축)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으로 추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도화된 신경망 모델과 방대한 학습 데이터, 그리고 대규모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한다.

테슬라는 완전자율주행(FSD) 서비스에 슈퍼컴퓨터 도조(Dojo)를 활용한다. 도조는 테슬라가 직접 설계한 D1·D2 칩과 수만 개의 엔비디아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바탕으로 가동된다.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이 하드웨어 단가 측면에서 유리하더라도 전체 시스템 측면에서 오히려 비용이 더 많이 든다.

현대차 역시 SDV 전용 'h클라우드'를 운영하고 있다. h클라우드는 주로 OTA(무선 업데이트)와 커넥티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의 허브 역할을 한다. 현대차가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차를 양산한다면 h클라우드 또는 포티투닷의 자체 AI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불가피하다.

◇ 포티투닷 '몸집 불리기' 목적일까
...
업계에 따르면 이번 웨이모 프로젝트는 송 사장이 아닌 장재훈 대표가 직접 추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송 사장은 로보택시 사업에 관여하지 않고 현대차 자체 차량용 카메라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만 집중한다.

이를 통해 포티투닷은 현대차의 납품을 확장할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포티투닷의 기업가치 부풀리기를 염두에 둔 전략 아니냐"라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로 현대차 자율주행 사업부 인력이 포티투닷에 파견가는 등 운영비용을 확장하지 않는 선에서 전방위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향후 카메라 자율주행에 필요한 AI 컴퓨팅 인프라를 확장한다면 유형자산이 증가해 기업가치를 올리기 유리하다.

그럼에도 포티투닷의 실적은 부진하다.

...
송창현 사장 입장에서 현대차와 기아한테 1조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만큼 빠른 시일 내 수익화를 입증해야 한다. 최근 공개한 아트리아 AI와 모빌리티 운영체제(OS) '플레오스'가 포티투닷의 생존을 건 마지막 승부수가 될 수 있는 셈이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4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39 / 1 페이지

MarginJOA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MarginJOA
작성일 04.08 09:14
흠... pleos인가 뭐시기도 테슬라 복붙이고 라이다 때고 카메라면 것도 테슬라고.. 뭘까요

rymerace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rymerace
작성일 04.08 09:15
투자 받아 기껏 한 게 테슬라 베끼기네요.
얼굴이 화끈거릴정도던데요.

나늬님의 댓글

작성자 나늬
작성일 04.08 09:33
현재 전기차1위가 테슬라이니 따라할수 밖에 없긴하겠네요... 테슬라에서 부족한 부분을 (물리버튼 극단적으로 없애는거 등등) 현기가 채우면 재밌는차가 나올수도 있을것같네요

휘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휘소
작성일 04.08 15:19
@나늬님에게 답글 해놓은거 따라가는게 맞긴 하나, 기술 선도하는 데는 국내 스타트업도 다 죽었고... 새로이 뭔가 할 수 있는 동력이 없죠.
AI가 유행이니 컴퓨팅파워 믿고 갈 수밖에요.

CaTo님의 댓글

작성자 CaTo
작성일 04.08 09:41
이제 대부분 카메라 위주 혹은 카메라+알파로 갈겁니다.
이제까지 못간 이유는 테슬라가 먼저 시작했고 그에따른 주행데이터나 학습된 량이 따라잡을 수 없을 정도 였기 때문이죠.
근데 엔비디아 옴니버스 나오면서 상황이 변했습니다. 주행데이터 옴니버스안에서 주구장창 돌리면 뽑을 수 있죠.
기술이 늘 그렇지만 퍼스트 무버가 10년 쌓은 결과 팔로우들이 잡는데 10년 걸리는건 아니니까요
플레오스도 뭐 UI로 심하게 까이는데, 현재 아무리 생각해봐도 그게 최종적으로 가장 맞는형태곘죠.
결국 폰도 다 아이폰의 모습. 안드오토도 결국 카플레이 형태.
그리고 테슬라는 우분투 기반, 플레오스는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포크로 내부는 다릅니다.
진짜 iOS vs 안드로이드 처럼 되겠네요 ㅋㅋ

FlyCathay님의 댓글

작성자 FlyCathay
작성일 04.08 10:00
라이다는 됐고...ICCU 이야기나 해보지요.

이노님의 댓글

작성자 이노
작성일 04.08 10:07
포티투닷.. 너무 고평가된거 같아요. 이랬다 저랬다..

무지개발자님의 댓글

작성자 무지개발자
작성일 04.08 11:02
현대 월급 받고
테슬라만큼 개발하기라

불가능할 겁니다

빵빵곰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빵빵곰
작성일 04.08 11:13
될까요. CCNC/CCIC 개발 기획, 리딩(!) 한 분들이 세계1등 할 양반들이 아니라는 것은 그동안 독점적인 상황에서 현기차를 타온 우리가 어물쩍 짐작할 수 있지만... 그렇다한들 그거 바로 제치고 다른 쪽으로 가는 것이 과연 될련지 모르겠네요. AI의 시대는 정말 저렴한 노동력과 갈아넣는 시간으로 모든게 표현&구현될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일을 더 해야 하는 것은 분명한데, 이거 우리 맞게 가고 있어? 에 대해서 의문없이 진행해야 하는데..

마스터재다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마스터재다이
작성일 04.08 12:22
@빵빵곰님에게 답글 Egmp플렛폼과 BSA를 여러 제조사에게 납품직전이라서 가능할듯싶습니다.
여러 제조사가 모듈화등을 통한 통합을 제안했지만?기반없이 시작한 테슬라만 가능했고
현대는 이걸 구현하겠다 하고 발표한것입니다.
여태껏 행보보면 진짜로 합니다.
기술있어도 바로 상용화 안하는건 발표조차 하지않습니다.(자율주행등)

vulcan님의 댓글

작성자 vulcan
작성일 04.08 11:24
카메라는 실사 같은 그림에 속던데...

crearit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crearity
작성일 04.08 11:30
@vulcan님에게 답글 사기실험 훼파된지 꽤 지났어요.

vulcan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vulcan
작성일 04.08 11:42
@crearity님에게 답글 아 그런가요? 동영상이나 웹주소 있으면 좀 가르쳐 주세요 ㅎ

슬프지만진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슬프지만진실
작성일 04.08 11:51
@vulcan님에게 답글

vulcan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vulcan
작성일 04.08 16:50
@슬프지만진실님에게 답글 감사합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eas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easy
작성일 04.08 11:52
@vulcan님에게 답글

사기까지는 아니고 HW3 사용하는 구형 모델들은 한계가 있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전자제품은 최신을 사야죠.

crearit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crearity
작성일 04.08 12:05
@easy님에게 답글 사기가 맞는게, 루미나의 최신 시험용 차량에, 후원이나 광고 아니다 횡설수설, FSD는 커녕 오토파일럿(차선만 유지)동작, 충돌직전 그 마저도 해제시킴등등..
그 전에도 논란이 많았고, 누가봐도 해 쳐먹으려는 의지가 다분한데 사기가 아니라고 보긴 힘들죠.

eas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easy
작성일 04.08 12:11
@crearity님에게 답글 문제의 영상은 저도 사기 치려는 의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과 별개로 HW3 FSD v12.6.4는 인식 못하는 것도 사실 입니다.

crearit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crearity
작성일 04.08 12:49
@easy님에게 답글 저는 원 댓글에 해당영상은 사기라고 대댓글 달았습니다.
제 댓글이 틀린게 아닌 이상, 그냥 그 지점에서 끝내면 됩니다.

eas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easy
작성일 04.08 13:03
@crearity님에게 답글 의도는 수상하지만 사기는 아니인게 그 영상에서 사용한 차는 HW3 FSD v12.5.x 입니다
길에 다니는 대부분의 테슬라 차량은 아직 HW3 장착하고 있습니다.
HW4는 2023년 인도분 부터 장착한걸로 알려 져 있습니다

해외 기사 찾아 보면 분기 실적 발표에서 일론 머스크가 FSD 구매 고객 대상으로 HW3를 HW4로 무료 업그레이드 해 줄 계획이라고 했습니다.
간접적으로 HW3의 한계를 인정한거죠.
FSD 최신 버전 v13은 HW3에서 못 돌립니다.
그 영상은 설명이 좀 많이 부족했지만 지금 시점에서 길에 다니는 대부분의 테슬라 차량은 그 영상과 같은 결과를 보여줄 겁니다.

crearit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crearity
작성일 04.08 13:10
@easy님에게 답글 아니, 구형테슬라 vs 출시도 안된 시험용 최신장비 상황인데, 사기까지가 아니라니. 말이 됩니까?
거기다, 과거의 논란과, 앞서 기술한 여러가지세팅과 행동들 보면 그게 사기가 아니고 뭡니까?
또, 하드웨어3라도 v13 거의 근접한 수준의 fsd(v12.6)가 실행됩니다.
일런도 그냥 다 업글 해 주겠다고 한게 아니라, 나중에 도저히 안되겠으면 해 준다는 말입니다.

vulcan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vulcan
작성일 04.08 16:50
@easy님에게 답글 감사합니다. 이것도 참고 하겠습니다.

왜나를불렀지님의 댓글

작성일 04.08 11:28
맵 업데이트도 몇달째 안해주는데, 그런 소프트웨어 기술력으로 참이나..

폴스타님의 댓글

작성자 폴스타
작성일 04.08 11:28
테슬라가 옳다는걸 돈으로 증명하고 있으니 그걸 또 따라가는군요;; 확실히 기업입장에선 이 방향이 맞긴하죠 하드웨어 하나만 줄여도 순이익이 근데 ICCU는?

존스노우님의 댓글

작성자 존스노우
작성일 04.08 11:32
문제는 테슬라와 중국차들의 학습량을 어떻게 따라가냐 하는거겠네요

마스터재다이님의 댓글

작성일 04.08 12:20
Ai칩을 차에 다니깐 그냥 중국쪽과 비슷하게 엔비디아시스템도 차용하는게 낫다싶으니깐 그런거죠. (사실상이게 더싸니깐)
그럼에도 기존라이다등은 일반모델에 쓸겁니다.
훌륭한가성비와 안정성을 보장하죠.

플레오에스도 테슬라따라하네 하는데
조금다른게 사실상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따온거고
이걸 규격화해서 모든차에 제공하겠다가 목적이거든요.
(꽤 자세한 sdk등을 이미제공하는?)
+ Poe라인을 통한 완벽한 48V 모듈화 까지요.

따라하는것 같아보이지만 사실상
페스트팔로워에서 퍼스트무버가 되고픈 상황인거죠.

CaTo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CaTo
작성일 04.08 16:04
@마스터재다이님에게 답글 다들 UI보고 배꼈다고 까기 바쁘던데, 정작 중요한건 아무도 관심 안가지더군요 ㅎㅎ
역시 현까가 잼이있어 그러는건지

마스터재다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마스터재다이
작성일 04.08 16:39
@CaTo님에게 답글 현까성 어디안가니깐요.. 저도 기술빼곤 현까라서요. ㅋㅋ

Raven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Raven
작성일 04.08 17:09
@마스터재다이님에게 답글 관심이 있어서 찾아보니, Pleos의 기반인 AAOS의 가로 화면 레퍼런스 디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cars/design/automotive-os/product-experience/system-ui/small-landscape

마스터재다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마스터재다이
작성일 04.08 17:24
@Raven님에게 답글 직관적으로 보여주기쉽고 대부분개발자들의 레퍼런스인 16:9이며, 이미 저런식의 화면 배치는 다양하게 여러군데서 시도도 하고 보여지는화면입니다.
그리고 보여지는 첫화면만 그럴뿐 메뉴의 단순화라 목록화는 복잡한 테슬라보다 낫다는게 제생각입니다.
그리고 테슬라는 개발해서 오픈해서 타제조사에 무언가까지 할생각도 안보이며,실질적 라인업도 실질 3모델밖에 안됩니다.
플레오에스 런치영상 보시면 테슬라의 그것과 비슷하지만 다르고 더큰 생각을하고 만들었다고
보시면됩니다.

Raven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Raven
작성일 04.08 17:49
@마스터재다이님에게 답글 네네, 운전자 중심의 UX를 고려하면 저런 형태가 일반적일 것 같습니다.
Pleos가 GAS 라이선스까지 받는지 두고봐야 앱 생태계가 활짝 열릴지 가두리 양식장이 될 지 알 수 있겠네요. 😅

마스터재다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마스터재다이
작성일 04.08 17:54
@Raven님에게 답글 저도 그부분을 주시하고있습니다. Egmp플렛폼과 BSA BSM 체계를 각제조사에게 올해부터팔기시작할텐데 플레오에스체계를 받아들이게할건지가 궁금합니다.😢

ehangman님의 댓글

작성자 ehangman
작성일 04.08 12:36
라이다 가격이 상용차에 쓸 수준이면 저 발레오 장비로 안되죠

액숀가면님의 댓글

작성자 액숀가면
작성일 04.08 13:06
그냥 중국처럼 카메라+라이다+레이더 모두 발전시켜보는게 어떨지... 나중에 또 라이다 연구한다고 시간허비 말고요.

카리우스님의 댓글

작성자 카리우스
작성일 04.08 13:08
다 됐고, 네비 업데이트나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치킨폴더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치킨폴더
작성일 04.08 13:08
둘다 쓰면 더 좋은거 아닌감

phillip님의 댓글

작성자 phillip
작성일 04.08 13:09
fast follower

아사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아사
작성일 04.08 13:57
기자가 좀 나쁘게 쓴 거 같네요. 현대도 이것 저것 준비 되어 있고, 어차피 카메라는 라이더 주여도 사용해야 했는데 말이죠.

휘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휘소
작성일 04.08 15:25
@아사님에게 답글 지금도 표지판 인식 잘 하더라구요(속도제한 나오면 계기판에 표시됩니다)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