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안드로이드 16, 미디어 재생이 더 부드러워진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rymerace
작성일 2025.04.11 15:43
분류 IT
2,470 조회
7 추천

본문


구글의 차세대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 16에서 미디어 재생 성능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업데이트는 오디오와 비디오 재생을 최적화해 사용자 경험을 한층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특히 미디어 코덱 처리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경해 주목받고 있다.

안드로이드 16에서는 미디어 코덱을 기존의 샌드박스 프로세스에서 별도로 실행하는 대신, 앱 내부 프로세스에서 직접 실행하도록 지원한다. 이로 인해 코덱 호출과 응답 사이의 지연 시간이 줄어들어 재생 과정이 더 매끄럽고 효율적으로 변한다. 구글은 이를 통해 오프라인 미디어 재생은 물론, 스포티파이(Spotify)나 유튜브(YouTube)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성능 향상을 체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앱이 비디오나 오디오를 재생할 때마다 별도의 코덱 프로세스를 호출하고 결과를 기다려야 했기 때문에 미세한 지연이 발생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16에서는 이러한 다중 프로세스 구조를 단순화해 지연을 최소화한다. 특히, 이 변화는 보안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잡은 러스트(Rust) 프로그래밍 언어로 재작성된 코덱을 활용해 구현된다. 러스트는 메모리 안전성을 보장하는 언어로, 취약점을 줄이면서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러스트 코덱의 도입 :현재 안드로이드 16에서는 오디오 코덱이 러스트로 재작성되어 적용되었으며, AAC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효율이 약 50%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비디오 코덱은 아직 기존 방식을 사용 중이지만, 구글은 점진적으로 러스트 기반 코덱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 전환은 안드로이드 기기의 미디어 재생 품질을 한 단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안드로이드 16은 Vulkan API를 공식 그래픽 API로 채택하며 게임 성능 개선도 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미디어 재생 최적화가 결합되면, 삼성 갤럭시와 같은 주요 제조사의 기기에서 One UI 8.0과 같은 업데이트를 통해 더 나은 멀티미디어 경험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7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6 / 1 페이지

‪초식동물‬님의 댓글

작성일 04.11 15:47
AAC 인코더 얼마나 개선됬을지 기대됩니다.
효율이 좋아졌다는 부분이 전력효율인지 대역폭대비 품질 효율인지 궁금하네요.

빵빵곰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빵빵곰
작성일 04.11 19:37
궁금하네요.

예지님의 댓글

작성자 예지
작성일 04.12 02:45
근데 궁금한게..... 모바일 기기에서 소프트웨어 인코딩/디코딩 안 하고 하드웨어 인코딩/디코딩 할텐데 차이가 발생하나요....? 코덱 문제는 하드웨어가 지원하는지가 젤 중요한거 아닌가 싶은데요.

slt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04.12 09:12
@예지님에게 답글 인코딩/디코딩 시작할 때까지 시간이 줄어든다는 얘기네요.

예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예지
작성일 04.12 10:55
@sltx님에게 답글 러스트 코덱 부분에 효율이 50% 좋아진다고 나와서요. 오디오는 이미 변경했고 비디오도 변경한다는데 이게 모바일 기기에서 소프트웨어 인/디코딩 쓰진 않을텐데 좀 이상해서요. 미디어 재생 품질을 끌어올릴 거라는데 설마 저 효율이 위에서 이야기한 지연시간을 말하는걸까요?

slt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04.12 15:59
@예지님에게 답글 아, 이 부분은 지연시간(프로세스 내부화)과는 다른 얘기로 보입니다.
오디오 코덱은 굳이 하드웨어 쓰지 않고 CPU로 처리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압니다.
비디오는 하드웨어 코덱을 많이 쓰는데, 하드웨어 코덱을 쓰더라도 모든 처리가 100% 하드웨어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부분도 있을 것 같습니다. (최소한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은 소프트웨어로 해야겠죠.)
😀 1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