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넷플릭스 공동 CEO: "영화관은 죽어가고 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심해
작성일 2025.04.14 17:23
분류 사회문화
3,112 조회
7 추천

본문


해외 기사를 번역(GPT-4o mini)한 것이므로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https://www.flatpanelshd.com/news.php?subaction=showfull&id=1744267421
 



넷플릭스 공동 CEO: "영화관은 죽어가고 있다"
 

극장은 다른 라이브 이벤트들이 회복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의 영향에서 회복하지 못했는데, 이는 넷플릭스 CEO가 극장이 죽어가고 있다는 징조로 보고 있습니다.

 

cinemaclosed_3.jpg

 

넷플릭스의 공동 CEO인 테드 사란도스의 발언은 지난달 팔리 센터 컨퍼런스에서 언론 매체 세마포와의 인터뷰에서 나왔습니다.

 

 

-- 사란도스는 "거의 모든 라이브 공연이 비명을 지르며 돌아왔다"고 말했습니다.

 

"브로드웨이는 현재 기록을 경신하고 있고, 스포츠 경기, 콘서트 등 코로나19 기간 동안 할 수 없었던 모든 것들이 이전보다 더 커졌습니다. 극장 박스오피스는 코로나19 이전보다 40~50% 감소했고, 올해는 이미 8% 감소했기 때문에 추세가 반전되지 않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보고 '소비자가 당신에게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라고 말해야 합니다."

 

 

나니아는 예외이지만...

 

넷플릭스는 자체적으로 대규모 예산 프로젝트를 극장 개봉하지 않아 이러한 추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영화 제작 비용은 일반적으로 극장의 대규모 예산 블록버스터와 동일합니다.

 

넷플릭스의 곧 개봉될 '나니아 연대기' 리부트와 같이 예외도 있는데, 이는 IMAX 극장에서 2주 동안 상영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사란도스에 따르면 이러한 움직임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상을 받을 자격을 얻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 핵심 전략은 회원들에게 넷플릭스에서 독점적으로 첫 번째 영화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나니아 아이맥스 개봉은 홍보 전략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영화가 상을 받을 자격을 얻고, 축제 요건을 충족하고, 홍보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몇 주 전에 극장에서 영화를 개봉합니다."라고 사란도스는 올해 초에 설명했습니다. "나니아의 경우, 2주간의 특별 이벤트입니다. 저는 그것이 다른 상영과는 매우 차별화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집에서 아이맥스 스크린만큼 큰 스크린을 가진 사람은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은 대부분 자체 스트리밍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전히 영화를 극장에서 독점적으로 개봉합니다. 디즈니와 워너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스트리밍 초연과 극장 상영 기간 단축을 실험했지만, 이후 극장 상영 기간을 팬데믹 이전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연장했습니다.

 

movie_3652865_20250414171936_a87a3fd6d0011cf4_thumb.jpg

넷플릭스는 나니아 영화를 극장에서 초연할 예정이지만, 이는 전략적 전환이 아니라고 사란도스는 말합니다. 사진은 넷플릭스의 나니아 버전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2025년: 영화의 해가 될까?


팬데믹과 할리우드 파업이 끝난 후, 2025년은 극장의 복귀의 해로 예상되었습니다.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과 '아바타 3: 불과 재'를 포함한 대작들이 개봉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2025년에 대한 전망이 1분기 이후로 암울해 보입니다. 이는 업계 협회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그룹(DEG)과 조사 회사인 옴디아에 따르면 작년에 티켓 판매가 15.8% 감소한 데 따른 것입니다.

 

한편, 가정 엔터테인먼트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현재 극장 시장보다 7배 이상 더 큽니다.

7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6 / 1 페이지

SCiHiFi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SCiHiFi
작성일 04.14 17:56
스트리밍 오리지널 컨텐츠들이 퀄리티가 엄청 좋아진 것도 그렇고. 극장 티켓이 비싸지고, 선택권은 점점 더 줄어들고 있구요. 그리고 무엇보다 대작 영화들이 줄어들고 있는것도 문제 같습니다. (마블과 DC의 삽질 같은것도 한 몫했을 거구요)
IMAX나 돌비비전 영화들이 더 나오기도 하겠지만... 아무래도 스트리밍 플랫폼들의 경쟁력이 나날이 커져가는 게 문제일 거 같습니다.

앞으로는 극장 수가 줄어들고, 스크린이 더 작은 관들이 많아진다거나 하는식으로 바뀔수도 있구요.

불태워버려님의 댓글

작성자 불태워버려
작성일 04.14 18:05
외국 어딘가 쇼츠보니까 입체영화관 이런것도 있고 돔처럼 화면이 압도적으로 큰것도 있던데 그런거 좀 많이 생기면 좋겠어요

lghtwave광파님의 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4.14 19:58
옛날엔 극장에서만 그 웅장한 사운드와 거대한 화면을 경험할 수 있었지만... 이젠 집에 75 85인치 TV에 사운드바도 수십만원짜리가 달려서 돌비서라운드도 어느정도 체감하는 시대다보니... 평범한 영화는 굳이 극장에 그 돈 주고 힘들게 갈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아이맥스 이런건 아직도 장점이 크지만요.
코로나로 극장 경험이 몇년 끊겼던게 막 데이트를 시작하는 신세대에겐 더 크게 다가왔을거 같습니다.

타락한영혼님의 댓글

작성자 타락한영혼
작성일 04.14 22:56
OTT로 보면 쿠키 영상을 기다릴 때 화장실을 참을 필요가 없어서 좋습니다.
OST 정보도 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쟘스님의 댓글

작성자 쟘스
작성일 04.15 00:41
비싼데
집에서 누워서 보는 것보다 편하지도 않고
빌런을 랜던으로 만나야 하고...
웬만한 작품 아니고서야 굳이 극장 갈 이유를 못찾겠어요.

SuperVillain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SuperVillain
작성일 04.16 10:28
프로젝터도 많이 보급됐죠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