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LG AI 야심작 ‘챗엑사원’, ‘업무 활용’ 둘러싸고 LG 직원들 설왕설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름다운별
작성일 2025.04.21 15:43
분류 IT
3,758 조회
8 추천

본문

* 주간동아 기사 내용 일부

https://n.news.naver.com/article/037/0000036209

https://v.daum.net/v/20250421090127301


‘챗엑사원(ChatEXAONE)'은 LG AI연구원이 LG 계열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서비스하고 있는 대화형 AI 에이전트다. LG AI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엑사원 3.5'와 '엑사원 딥'을 기반으로 한다. 


엑사원 3.5는 미국 비영리 AI 연구기관 에포크 AI가 지난해 선정한 '주목할 만한 AI'에 선정됐다. … 국내 모델은 엑사원 3.5가 유일하다. 지난달 공개된 국내 최초 추론 AI 엑사원 딥 역시 '주목할 만한 AI'에 포함됐다. ‌그런데 LG 내부에서는 챗엑사원 성능과 업무 활용을 둘러싸고 이런저런 말들이 나오고 있다. ‌


"LG 직원은 대부분 '챗엑사원'을 사용하지 않는다. 코딩을 할 때는 클로드 소네트를, 전반적인 기획 및 보고서 작성을 할 때는 챗GPT를 사용한다. 아쉽게도 챗엑사원을 사용해야만 하는 특별한 가치를 느끼지 못했다."(LG에너지솔루션 직원 A 씨)


"연구자료 등 전문 정보를 찾을 때 챗엑사원을 종종 사용한다. 챗엑사원은 동일한 규모의 세계적 인공지능(AI) 모델과 비교했을 때 벤치마크 성능이 우수하다."(LG 계열사 직원 B 씨)‌ … …


‌챗엑사원 성능에 실망했다는 LG 계열사 직원 C 씨는 "챗엑사원과 무료 챗GPT는 성능이 비슷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업무에 도움이 되려면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진 AI가 필요하다"며 "회사에서 챗GPT 접속을 차단했지만 업무 처리를 위해 접속을 우회해서라도 유료 챗GPT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 직원 A 씨는 "단순한 질문에는 챗엑사원도 답변을 잘하는데, 추론 기능에서는 챗GPT나 클로드 소네트 성능이 압도적"이라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달라는 질문에 챗엑사원은 뻔한 답을 내놓는 반면, 챗GPT는 솔깃한 답을 알려준다"고 밝혔다.

[이후 내용 링크 참조]

8추천인 목록보기
태그
댓글 19 / 1 페이지

aicasse님의 댓글

작성자 aicasse
작성일 04.21 15:54
이름을 무슨 무슨 사원이라고 대놓고 붙였는데,
정작 사원들에게는 외면당하는군요...
1

페퍼로니피자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페퍼로니피자
작성일 04.21 16:12
@aicasse님에게 답글 엘지의 유구한 전통 "엑스같은" 마케팅입니다. X(같은) 사원..

출발비대면여행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출발비대면여행
작성일 04.21 16:36
@aicasse님에게 답글 "챗 엑사 원" 이 아니라
"챗엑 사원" 이라는 말인가요?????????????????????????????

디카페인중독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디카페인중독
작성일 04.21 16:46
@출발비대면여행님에게 답글 몇년뒤에는 챗엑 선임으로 진급할 예정입니다?
1

소직성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소직성
작성일 04.22 19:51
@aicasse님에게 답글 이거 직장내 괴롭힘 아닌가요오??~~

모노마토님의 댓글

작성자 모노마토
작성일 04.21 17:12
어이 챗엑 대리 이것 좀 해줘.
챗엑 과장님 이거 다 했습니다.
챗엑 본부장님 저는 뭘 하면 될까요?

트레비스님의 댓글

작성자 트레비스
작성일 04.21 18:09
제발 이름 좀 바꿉시다~~

심이님의 댓글

작성자 심이
작성일 04.21 18:10
피드백을 받고 발전을 하면 의미가 있는 것이고.
저 피드백으로 이거 망했네 라면서 내부에서 자조 하면서 내리면 영원히 발전이 없는거죠.
글로벌 데이터를 가진 GPT, 클로드와 막 시작하는 것과 비교를 하면 당연히 앞서 나간 애가 이기죠.

RaPo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RaPo
작성일 04.21 18:25
LG AI연구원은 나름 자부심을 갖고 모델 명을 만들고 모델을 개량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우리 나라의 AI가 GPT서비스 같은 걸 못 만드는 건 한탄해야 할 일이지만, 지속적으로 돈을 쏟아부어야 할 필요는 있습니다.

가사라님의 댓글

작성자 가사라
작성일 04.21 18:27
지금 시장은 1등이 아니면 의미가 없죠.

시레비펜님의 댓글

작성자 시레비펜
작성일 04.21 18:56
쟤넨 신제품 발음도 안 해보고 내놓나요

호루룩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호루룩
작성일 04.21 19:30
직원 : 오늘 건배사 추천해줘.

세계일화님의 댓글

작성자 세계일화
작성일 04.21 20:26
엑사원이 애시당초 R&D용입니다... 기자가 LG 깔려고 쓴 기사네요.

Dufresne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Dufresne
작성일 04.21 20:34
X 참 좋아해요 저긴 ㅋ

은갈치님의 댓글

작성자 은갈치
작성일 04.22 06:53
오픈 llm모델 중 exaone만큼 한글 성능 나오는 건 없던데요.. 일단 제 입장에선 고마운 모델입니다.

셀빅아이님의 댓글

작성자 셀빅아이
작성일 04.22 07:00
한글 특화로 의미가 있는데 세계1등하고 비교하면 힘들죠.

부서지는파도처럼님의 댓글

작성일 04.22 07:08
챗엑사원... C..E..O... 앗..

똥멍충이님의 댓글

작성자 똥멍충이
작성일 04.22 12:20
이런 투자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dayscraper님의 댓글

작성자 dayscraper
작성일 04.22 15:19
notebooklm 방식처럼, 사내 기밀자료를 넣어서 추론시키는 용도로는 대안이 없을 것 같습니다.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