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 인터넷 + 시놀로지NAS 환경에서 DLNA 설정 도대체 어떻게 하죠?
페이지 정보

본문
주변 사람 꾀임에 넘어가 시놀로지NAS를 구입했고 기본적인 세팅은 했으나 큰 목적중 하나인
DLNA를 사용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해서 아무리 찾아도 똑같은 케이스는 없고
유사 케이스는 있어서 따라해 봤으나 동작하지 않더라구요.
TV에서 홈 네트워크에 잡히는게 없고
스마트폰 wifi 환경에서 nplayer 의 DLNA에도 검색되는게 없습니다.
좀 찾아보니 sk브로드밴드의 경우 H633G 모뎀 자체가 모뎀 + 공유기 기능이 있다고 하여 다른 통신사와 설정이
좀 다른걸로 이해했습니다.
현재 홈 네트워크가 WAN - 모뎀겸 공유기1 - 공유기2 이렇게 되어있고
공유기1에 PC와 NAS가 물려있고
공유기2에 TV가 물려있는 상태인걸로 이해됩니다.
간단한 홈네트워크는 첨부했습니다.
현재 상태
- finds.synology.com 에서 제 NAS는 검색되는 상태
- xxx.synology.me/ 로 DDNS 설정했으나 접속 불가 상태
- 인터넷모뎀(H633G)을 브릿지모드로 변경하면 된다고 해서 해봤으나 DLNA와 DDNS 모두 안되고
NAS로 시놀로지포토 사진 업로드 속도가 10배는 느려져 원복했습니다.
Q.이 경우 DLNA가 설정이 될까요?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Q. TV와 공유기 wifi의 네트워크가 동일한 네트워크가 아니라서 안되는걸까요?
(DLNA가 안될 경우 DDNS설정으로 할 수 있다고 해서 시도 했으나 이것도 뭔가 잘 못했는지 안됩니다.ㅠ)
결국 며칠동안 씨름하다 포기하고 외부에서 오디오, 비디오 보는건 포기한지 몇달 됐는데요.
억울해서 다시 시도하려고 합니다. 의심 가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lonelyworld님의 댓글

나스도 있으시니 Plex가시죠. 핸드폰 앱도 있고 훨씬 편하고 좋습니다.
배고파랑님의 댓글

VPN써서 같은 네트워크로 묶으시거나 윗분들처럼 그냥 젤리핀이나 plex쓰시는게 여러모로 편하실겁니다..
데굴대굴님의 댓글

정상적으로 쓰실꺼면, TV와 스마트폰이 있는 공유기 밑으로 모두 연결되도록 변경하면 다 됩니다.
이 상태에서 접속이 느리다고 한다면, 그건 공유기가 느려서 그런겁니다. (모든 장비가 인터넷&SK 망을 통하지 않으므로 공유기의 성능에 달려있음)
외부에서 시놀로지 접속이 필요하면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으로 시놀로지만 열어둡니다.
그리고, http(80), https(443)은 외부에서 접속 안됩니다. 따라서 시놀로지에 접속하는 방법은 http: // xxx.synology.me/ 나 https: // xxx.synology.me/ 가 될 수 없습니다. 메뉴얼에 나온 구성 그대로 하셨으면 443과 7001 포트를 사용하도록 했을꺼고, 이 구성으로 했다면 http: // xxx.synology.me:7001/ 이나 https: // xxx.synology.me:7001/ 이 되어야 합니다.
예지님의 댓글
nPlayer로 사용할 경우도 외부망이면 WebDAV, 내부망이면 SMB를 주로 쓸거에요. DLNA는 스마트 TV가 아닌 DLNA만 지원되는 구형 TV가 아닌 이상 굳이 쓸 필요 없지 않을까 싶어요. 아마 이제는 DLNA 쓰는 사람들이 거의 없어서 구글 검색해도 글 찾기 힘들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