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어느 방법이 공정한 급회피 테스트일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2025.02.19 22:55
1,012 조회
3 추천

본문

1. 핸들을 같은 속도로 같은 각도만큼 돌린다. (예: 0.5초 내에 180도 회전)

2. 앞바퀴를 같은 속도로 같은 각도만큼 돌린다. (예: 0.5초 내에 10도 회전) - 차마다 핸들 돌리는 각도와 앞바퀴가 돌아가는 각도의 비율이 다르죠.

3. 차량을 같은 속도로 같은 각도만큼 돌린다. (예: 0.5초 내에 20도 회전) - 앞바퀴가 같은 각도로 돌아갔다고 해도 휠베이스도 다르고, 언더, 오버스티어도 발생하죠.

4. 차량을 같은 속도로 같은 거리만큼 옆으로 이동시킨다. (예: 1초 내에 옆으로 3m 이동) - 각도가 동일해도 속도의 변화가 생기죠. 후륜조향 되는 차도 있고요.

...

그리고 평가 지표를 어떻게 잡을지도 굉장히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고요.

결국 리뷰는 어느 정도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 봅니다.

3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7

우리요다이티님의 댓글

작성일 02.19 23:18
이미 로봇으로 테스트 하는게 있습니다. 그것 통과 해야 미국 수출도 되고요

slt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02.19 23:36
@우리요다이티님에게 답글 1번 방법 같던데, 그게 좋은 방법인지는 모르겠네요.

우리요다이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우리요다이티
작성일 02.19 23:39
@sltx님에게 답글 전복 되나 안되나 정도를 보려고 꺽믄거 같더라구요 현실적으로는 km77 유튜브 처럼 흐는게 회피기동엔 적당하지 않나 싶습니다

slt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02.19 23:42
@우리요다이티님에게 답글 그 로봇 테스트 (핸들 일정 각도 돌리기) 통과하기는 쉬울 것 같아요. 핸들 많이 돌려도 바퀴가 덜 돌아가게 만들면 되니까요.

우리요다이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우리요다이티
작성일 02.19 23:49
@sltx님에게 답글 어렵죠…;; 조작했다간….ㅎㅎ;; 난리나져..

slt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02.19 23:50
@우리요다이티님에게 답글 조작이 아니라 차를 그렇게 만들면 되는 거죠. 비율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고 차마다 다 다른데요.

슬픈백야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슬픈백야
작성일 02.20 00:31
@sltx님에게 답글 테스트 하나 통과 하자고 생산 차량을 몽땅 조향각을 바꾸는 제조사는 없을거 같습니다.

slt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02.20 00:55
@슬픈백야님에게 답글 중요한 테스트이면 개발 과정에서 고려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을 것 같은데요. 물론 조향비율 외에 다른 방법으로 개선 가능하면 그 방법을 쓸 수도 있겠죠.

시코님의 댓글

작성자 시코
작성일 02.19 23:58
회피 성능 테스트라면 휠베이스랑 언더, 오버스티어 봐줘야 하나요?

slt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02.20 00:01
@시코님에게 답글 그런 요소들이 모두 차량 거동에 영향을 주니까 핸들 돌리는 게 다가 아니란 얘기죠.

시코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시코
작성일 02.20 00:22
@sltx님에게 답글 평가를 통해 얻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가요?
‘회피 성능’ 테스트라면 무스테스트처럼 일정 한 규격 내에서 얼마나 빠른 속도에서 통과 가능한지 보면되겠죠.

‘조향 응답성’ 테스트라면 일정 속도에서 차의 방향을 일정하게 틀었을때 입력값 대비 출력값을 비교하면 되고요.

리릿님의 댓글

작성자 리릿
작성일 02.20 00:28
오토뷰처럼 테스트하는 곳은 솔직히 없고요;;;

성능은 슬라럼, 스키드 패드. figure-8, u-drag 등을 하죠.
가장 흔한건 트랙 도는거고요.

km77의 무스테스트가 유명하지만, 타매체에서 거의 안하는 이유가.. 이것도 오차가 상당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스팅어를 보면.. 국내서 장진택 기자님이 테스트한거랑, km77에서 테스트한거랑 기록이 전혀 달라요...

슬라럼/스키드패드는 카앤드라이버가 유명하고,
figure-8은 모터트렌드만 하는 것 같고,
u-drag는 edmunds만 합니다.
트랙은 여기저기서 많이 하는데, vs를 하려면 한날 한시에 도는게 의미가 있죠.
이건 카앤드라이버가 1년에 한번 정도 수십대 가져다가 동시에 합니다.
이 이벤트 이름은 lightning lap이라고 하고요.

DevChoi84님의 댓글

작성자 DevChoi84
작성일 02.20 07:41
자동차 타보시면 조향에 따른 바퀴 각도가 차마다 셋팅이 다릅니다. 조향비가 다르죠.
같은 각도로 핸들을 틀어도 어떤 차는 바퀴가 훅 돌고 어떤 차는 조금만 돌기도 하죠.
그런걸 말하는겁니다.
오토바이는 조향비가 1:1 입니다. 바로 직결되어있으니까요.
그건 차량의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주로 큰차 화물차 또는 오프로드지향 차량들은 핸들을 많이 돌려야 바퀴가 회전하도록 셋팅하고
스포츠성향의 차량이나 조향에 따른 직결감이 좋도록 셋팅하는 곳은 그에 비해 덜하게 돌려도 되죠.
일반 차량들은 그 중간 어딘가로 셋팅을 하긴 합니다.

1번같은 테스트면 조향을 많이 해야 바퀴가 도는 셋팅을 하면 조향비가 높은 차일수록 더 훅훅 돌고 낮은 차일수록 덜 돌겠죠.
2번같은 테스트면 조향비가 다르기 때문에 시간을 들여 조향비를 운전자가 확인하고 돌려야 한다는 문제가 있겠지만 거동을 볼 땐 조금 더 정확한 움직임을 볼 수 있겠지만 오토뷰같은 논란이 있을수 있죠

1_2_3님의 댓글

작성자 1_2_3
작성일 02.20 07:55
공정한 테스트는 내가 원하는 결과가 나온 테스트입니다

오마이갓님의 댓글

작성자 오마이갓
작성일 02.20 08:07
이미 주행전복안전성 시험 기준이 제정되어 있습니다.
기준에 따라 시험하고, 기준의 등급을 확인하면 됩니다.
시험은 당연히 사람이 아닌 시험 장비로 하게 됩니다.

https://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dtl?id=367

slt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ltx
작성일 02.20 08:18
@오마이갓님에게 답글 이건 횡가속도 기준이네요. 그런데 전복안정성이네요.

다시머리에꽃을님의 댓글

작성일 02.20 09:34
어떤게 공정한지는 결론내리기는 어렵지만..
오토뷰 주행관련 테스트가 공정한 테스트라 믿는 분들이 많다는 것도 한몫하죠

아마 오토뷰의 수치화된 다른 테스트들로 인해 상기 테스트도 객관적이고 공정하다라는 프레임을 갖게 되는지 모르겠지만요

저 윗분 말마따나 내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는게 공정한 테스트라 여겨지는가 봅니다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