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통증약의 위험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CG디자이너

작성일
2025.03.12 00:15
본문
삼차신경통으로 현재 뉴론틴300 mg을 하루 세번 복용을 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통증은 가셨는데 문제는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겁니다.
부작용을 딱 한마디로 정리하면 "멍청해 진다" 입니다.
나름 두뇌회전이 빨라 순간 상황대처능력이 탁월하고 임기응변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약을 복용하고 나서 부터는 잦은 실수가 반복되고 몸 여기저기 저도 모르는 멍이 들어있습니다.
커피타서 지나가다가 다른 사람과 부딧쳐서 커피를 쏟기도 하고, 메일을 보낼 때 맞춤법을 틀리다보니 공문서 작성할 때 마다 인터넷에 맞춤법 찾아보면서 오타를 확인하게 되고 챗지피티에 문서 올려서 오타 확인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습니다.
적절한 단어도 순간순간 생각이 나질 않아서 대화를 하다가도 멈칫하게 되는 횟수가 늘고, 뭘 자꾸 까먹습니다. 담배피러 나가는데 전담을 안들고 간다거나 핸드폰 배터리 20%남아서 충전해야지 해놓고 그냥 잊어먹고 있다가 전원 꺼져버리는데 왜 핸드폰이 꺼져버리는지 그 이유를 파악하는데 10초가 걸립니다.
멍청해 진다는 느낌이 이런 거구나 하는 생각에 우울증이 어떤 건지 실질적 체험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대로는 도저히 안될 것 같아서 약을 끊어봤습니다. 약을 끊고 6시간 정도 지나자 바로 살을 애는 듯한 통증이 찾아와서 결국 다시 약을 먹었습니다.
이 문맥도 맞지 않은 두서없는 짧은 글 하나 작성하는데도 무려 10분이 걸렸네요. ㅠㅠ
32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4
/ 1 페이지
3분인생님의 댓글
작성자
3분인생

작성일
03.12 00:24
글 문맥에 맞게 잘 쓰셨어요
안먹으면 아프니 끊을수도 없군여 ㅠㅠ
몸이 약에 적응하면 더 괜찮아진다든가...하면 좋겠네요
안먹으면 아프니 끊을수도 없군여 ㅠㅠ
몸이 약에 적응하면 더 괜찮아진다든가...하면 좋겠네요
너부리인척하는보노보노님의 댓글
작성자
너부리인척하는보노보노

작성일
03.12 05:24
멍청해진다는 느낌 참 당황스럽고 우울하고 무기력해지더라구요.
부작용 없는 약 찾으시고, 나으시길 바립니다.
부작용 없는 약 찾으시고, 나으시길 바립니다.

오늘을산다님의 댓글
작성자
오늘을산다

작성일
03.12 05:53
구글링해보니 잘 알려진 부작용이네요. 같은 작용을 하는 다른 약도 비슷한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오네요. 부디 좋아지시길 바랍니다.
pontine님의 댓글
작성자
pontine

작성일
03.12 07:46
통증이 줄어들었으면,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여 용량도 줄여보시고, 약을 바꿔보심은 어떠할지요?
이렇게 글을 쓸 정도로 부작용 때문에 고생하신다면 뭔가 조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글을 쓸 정도로 부작용 때문에 고생하신다면 뭔가 조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CG디자이너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12 08:03
@pontine님에게 답글
약을 먹을 때만 통증이 줄어들고 혹시나 해서 약을 거르면 12시간 이내에 바로 통증이 시작되더군요. 그러고 나서 다시 약발이 먹을 때까지는 최소 이틀 정도가 걸리니 함부로 끊지도 못하겠습니다.
반지양님의 댓글
작성자
반지양

작성일
03.12 07:46
저도 뉴론틴 한창 많이 먹을 땐 겪던 증상이었는데, 조금 줄이니까 많이 완화되었어요.. 얼른 통증 줄어서 약도 줄어들기를 바랍니다 ㅜㅠ
그리운거북이님의 댓글
작성자
그리운거북이

작성일
03.12 08:52
약물이 뇌로 들어가기 때문이죠.
몇 달 전 통증 억제 신약이 나왔습니다.
새로운 기전으로 통증의 전달에만 관여하는
소듐채널 억제제이고 말초에만 작용한다고 합니다.
suzetrigine?으로 곧 국내에 출시될 걸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존 진통제의 단점이 없다고 합니다
몇 달 전 통증 억제 신약이 나왔습니다.
새로운 기전으로 통증의 전달에만 관여하는
소듐채널 억제제이고 말초에만 작용한다고 합니다.
suzetrigine?으로 곧 국내에 출시될 걸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존 진통제의 단점이 없다고 합니다
12시님의 댓글
작성자
12시

작성일
03.12 14:40
신경과 약이 거의 대부분 신경전달 활동을 억제하는 거니까 당연히 따라오는 부작용이죠. 이 약들의 진짜 문제는 약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모른다는 겁니다. 목표하는 증상의 완화에 효과가 있으니까 일단 그냥 써보는 수준이죠. 약물로 얻는 이익이 더 크다면 어느 정도는 감수해야 합니다. 노트앱에 무조건 다 적어놓으세요.
다만 우울과 조증의 반복 주기가 짧아지면 약을 바꿔야 합니다. 극단적인 생각에 빠지지 않도록 항상 뭐라도 하세요
다만 우울과 조증의 반복 주기가 짧아지면 약을 바꿔야 합니다. 극단적인 생각에 빠지지 않도록 항상 뭐라도 하세요
마안부우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