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제 성분 공부중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PWL⠀

작성일
2025.03.30 10:06
본문
평소에 비타민 D를 챙겨먹는데 평소 먹던게 거의 다 떨어져서 새로 사려고 합니다. 재주문을 하려다가 성분표를 봤더니 이것저것 무언가가 많이 참가되어 있는거예요. 게다가 핵심 성분 비율이 얼마인지도 나와있지도 않고… 게다가 값까지 싸니까(!!) 왠지 이거 불량 영양제가 아닌지 더 의심만 커집니다. 그런데 수입 영양제를 보면 대부분 저렇게 순수성분명만 거의 100%로 나와있는데 국내산을 보면 이것저것 많이 섞여있습니다. 아마도 우리나라의 기준이 더 엄격해서 모든 성분을 일일이 다 기록해야하나보다 생각하고 있는데 여전히 의심은 안 풀리구요. 오전은 이 공부나 하며 시간을 보내게 생겼습니다.
그나저나 우리나라에서 파는 비타민 D는 고용량이 압도적으로 많군요 ㅡㅡ
2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7
/ 1 페이지
PWL⠀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30 10:19
@로이란님에게 답글
아… 제가 모르는 세상인게로군요. 그래도 성분 비율은 나오면 좋을텐데 말입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고약상자님의 댓글
작성자
고약상자

작성일
03.30 10:24
저렇게 막 섞여 있는 것들은 캅셀에 담을 수 있는 한계로 인해, 극소량만 넣고, 넣었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냥 비타민 d3만 정확한 용량으로 들어 있는게 훨씬 좋습니다.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30 10:43
@PWL⠀님에게 답글
필요하신 정보가 있으시면 강좌/팁 게시판에도 정보가 많이 있고, 또 관련 전문가에게 물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Java님의 댓글
작성자
Java

작성일
03.30 10:30
영양제/비타민의 이런저런 논란은 차치하고요.
복합제제는 피하시길 권해요.
서로 다른 성분들을 합치다보니 여러가지 잡다한 첨가물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됩니다.
(화학반응 억제, 안정, 보존, 기타등등 + 쓸데없는 색소, 향, 맛)
잡다한 첨가물이 소량일지언정 좋지 못한 효과를 낼 가능성이 있거든요.
첨가물 자체의 부작용에 더불어서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특히 비타민 D 단일제제(투명 연질 밀폐 캡슐)와 복합제제(일반 고형 약제형)는 약의 형상부터 달라지죠.
최소한,
비타민 D 단일 제제와 칼슘+마그네슘+아연 복합제제를 따로 드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복합제제는 피하시길 권해요.
서로 다른 성분들을 합치다보니 여러가지 잡다한 첨가물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됩니다.
(화학반응 억제, 안정, 보존, 기타등등 + 쓸데없는 색소, 향, 맛)
잡다한 첨가물이 소량일지언정 좋지 못한 효과를 낼 가능성이 있거든요.
첨가물 자체의 부작용에 더불어서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특히 비타민 D 단일제제(투명 연질 밀폐 캡슐)와 복합제제(일반 고형 약제형)는 약의 형상부터 달라지죠.
최소한,
비타민 D 단일 제제와 칼슘+마그네슘+아연 복합제제를 따로 드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Java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30 10:38
@Java님에게 답글
게다가 각 원재료를 한 회사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각각 제제들을 사와서 섞는 식으로 제조가 이루어집니다.
A사의 A제제에 첨가물 듬뿍,
B사의 B제제에 첨가물 듬뿍,
C사의 C제제에 첨가물 듬뿍을
D사가 사와서 또 다른 첨가물까지 추가해서 섞어섞어 하는거죠.
이것들이 섞였을 때 과연 어떤 추가적인 반응이 일어날지? 과연 흡수는 제대로 될지?도 의문인 부분들이 있습니다.
A사의 A제제에 첨가물 듬뿍,
B사의 B제제에 첨가물 듬뿍,
C사의 C제제에 첨가물 듬뿍을
D사가 사와서 또 다른 첨가물까지 추가해서 섞어섞어 하는거죠.
이것들이 섞였을 때 과연 어떤 추가적인 반응이 일어날지? 과연 흡수는 제대로 될지?도 의문인 부분들이 있습니다.
간단생활자님의 댓글
작성자
간단생활자

작성일
03.30 11:06
기본적으로 식단이나 비타민d의 경우는 햇볕을 쬔다던가 하는 게 우선이고요. 비타민d가 풍부한 달걀이나 버터 등을 먹으면 겨울에도 비타민d레벨이 충분해진다네요.
아무튼 식단 챙기고
이후에 검사를 해보고 모자른 걸 채워야 합니다. 그리고 mthfr변이가 있으면 거기 맞춰서 활성화된 걸 찾아 먹어야할 수도 있고요.
다만 mthfr변이가 있더라도 나중엔 대부분은 식단으로 해결 됩니다.
다만 식단의 내용이 주장하는 사람에 따라 극과 극이죠. 의사들도 통일이 안 되죠.
저는 이거저거 해본 후 카니라이스를 지향합니다.
아무튼 식단 챙기고
이후에 검사를 해보고 모자른 걸 채워야 합니다. 그리고 mthfr변이가 있으면 거기 맞춰서 활성화된 걸 찾아 먹어야할 수도 있고요.
다만 mthfr변이가 있더라도 나중엔 대부분은 식단으로 해결 됩니다.
다만 식단의 내용이 주장하는 사람에 따라 극과 극이죠. 의사들도 통일이 안 되죠.
저는 이거저거 해본 후 카니라이스를 지향합니다.
데굴대굴님의 댓글
작성자
데굴대굴

작성일
03.30 12:05
비타민d 는 보충제 찾아 먹다보면 과용되기 쉽고, 대충 먹으려면 소화불량이 됩니다.
일단 이게 칼슘 흡수를 돕는다고 해서 칼슘이 메인인 제품에 거의 함께 들어가 있어요. 칼슘이 메인인 제품에 뼈건강에 좋게 한다고 꽤 잡다한게 많이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자주 있고요. 근데 뼈건강 제품에 관절 좋게한다고 또 이것저것 많이 넣습니다.
뭔가 잘 채워주는거 같지만 여기에는 두개의 문제가 있습니다. 하나는 1일 권장량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채우기 어렵다는 것이고 또다른 문제는 경우에 따라서 속이 안좋아서 안먹게 됩니다. 속을 불편하게 만드는 요소들 빼고 조합하면서 내가 필요하다고 느끼는걸 모두 먹으려면 위에 있는거처럼 섞여있는 것보다 단일 제재로 되어 있는게 더 쉽습니다. 그리고 부작용이 있다고 생각하면 하나씩 빼면서 어느건지 찾는데도 도움이 되고요.
일단 이게 칼슘 흡수를 돕는다고 해서 칼슘이 메인인 제품에 거의 함께 들어가 있어요. 칼슘이 메인인 제품에 뼈건강에 좋게 한다고 꽤 잡다한게 많이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자주 있고요. 근데 뼈건강 제품에 관절 좋게한다고 또 이것저것 많이 넣습니다.
뭔가 잘 채워주는거 같지만 여기에는 두개의 문제가 있습니다. 하나는 1일 권장량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채우기 어렵다는 것이고 또다른 문제는 경우에 따라서 속이 안좋아서 안먹게 됩니다. 속을 불편하게 만드는 요소들 빼고 조합하면서 내가 필요하다고 느끼는걸 모두 먹으려면 위에 있는거처럼 섞여있는 것보다 단일 제재로 되어 있는게 더 쉽습니다. 그리고 부작용이 있다고 생각하면 하나씩 빼면서 어느건지 찾는데도 도움이 되고요.
PWL⠀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30 12:08
@데굴대굴님에게 답글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영양제 살 때에도 단일제재 위주로 샀는데 비타민 d 살 때에는 좀 방심했나봅니다.
데굴대굴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30 12:15
@PWL⠀님에게 답글
c d 는 허용치가 높기도하고 넘어도 딱히 문제가 발생하는건 아닌지라 대충 구입하시면 됩니다. 다만, 다른거 섞여 있을때나 다른거랑 함께 사려고할 때 주의가 필요하더라고요. 다른 보충제에서 채워지니까 중복으로 구입할 필요가 없더란…;;;
제 경우는 d 따로 섭취하다가 칼슘이나 먹어볼까하다가 기존의 d 를 제거하고 그냥 칼슘 보충제로 바꿨습니다. 종합 비타민 먹으면 대부분 필요 없는데 칼슘과 몇개가 안채워지더라고요. (다이어트 중입니다…)
제 경우는 d 따로 섭취하다가 칼슘이나 먹어볼까하다가 기존의 d 를 제거하고 그냥 칼슘 보충제로 바꿨습니다. 종합 비타민 먹으면 대부분 필요 없는데 칼슘과 몇개가 안채워지더라고요. (다이어트 중입니다…)
PWL⠀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30 12:19
@데굴대굴님에게 답글
제가 d 1000iu로 먹고 불면증에 시달렸습니다 ㅡㅡ; 요새는 반으로 잘라먹습니다. 이번엔 400짜리로 주문했습니다.
로이란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