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적 위험성 경고 (언더스탠딩 자본시장연구원 신보성 연구위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가사라
작성일 2025.04.06 23:27
749 조회
2 추천

본문

언더스탠딩 채널에 자본시장연구원 신보성 연구위원 이라는 분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 말씀하시길래 어떤 내용인지 살펴봤습니다.

영상중에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적 위험과 인플레이션 및 Fed 관련 내용들은 괜찮아 보여서 따로 정리했습니다.


트럼프가 일종의 도박을 하고 있는데, 잘되면 달러를 포함한 패권국 지위를 연장할거고, 안되면 큰 위기가 올 수 있겠다는 내용이고요.

패권국 지위를 연장은 해도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아니라는 사실은 주지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저는 스테이블코인 관련한 트럼프 정책은 비교적 저위험정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세상에 그런건 없는 모양입니다.

도박이 성공하길 빌어야 하는건지 망하길 빌어야 하는건지 감을 잡기조차 어렵네요.








2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1 / 1 페이지

Saracen님의 댓글

작성자 Saracen
작성일 04.07 01:34
트럼프가 생각이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 다 엉터리입니다. 그냥 재미로 하는 유투브 쯤이면 안 보면 그만이지만, 삼프로 (도 상당히 의심되기는 하지만)정도 채널이 이런 엉터리 이야기를 하는 것도 무책임하죠.

가사라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가사라
작성일 04.07 02:49
@Saracen님에게 답글 트럼프를 생각없는 바보, 멍청이에 미치광이라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Saracen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Saracen
작성일 04.07 12:24
@가사라님에게 답글 https://www.msnbc.com/rachel-maddow-show/maddowblog/trump-speech-tariffs-fact-check-white-house-rcna199456
Paul Krugman이 한 이야기입니다. 노벨상 받았고 평생 경제학 연구했고, 존경받는 학자입니다. 이 사람도 트럼프가 완전히 미쳤다고 하네요.

가사라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가사라
작성일 04.07 13:20
@Saracen님에게 답글 폴 크루그먼은 코로나때 인플레가 일시적이라고 했던 대표적인 경제학자입니다.
그 사람의 말이 언제나 진실일 수는 없습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트럼프가 엉터리에 미쳤다고 말은 합니다만 그는 현직 미국 대통령이고 바보도 아니고 멍청이도 아닙니다.
정확히 어떻게 일이 진행될지를 알아보는 컨텐트를 무조건 엉터리라고 치부해버려서는 안된다는 뜻입니다.
다 떠나서 그가 정책을 뒤집을 수도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보는 것도 중요한 일입니다.

푸른미르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푸른미르
작성일 04.07 03:41
우려라는게 이미 다 드러난 것들이네요
테라/루나 코인 사태 처럼 발행자가 뒤에서 호박씨 까고 망하면 문제라는 건 자명한 일이죠
다만,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의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건 확실하지 않은 주장 같네요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달러 수요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텐데요
FED의 통화 정책을 교란하는 문제도 새로운 정책을 도입해서 보완하면 해결 될 일이죠
정작 문제는 아직 드러나지 않은 것들에 있을 듯 합니다

제도권에서는 도입해 보지 않은 일이라 스테이블 코인이 실제 상거래에 적용되는 경우 파급효과를 예상하기 힘들죠
과연 사람들이 코인을 달러 대신 잘 쓸지, 쓰게 된다면 어느 나라에서 얼마나 쓰게 될지 말이죠
브레튼우즈 2.0 처럼 국제 합의가 되지 않는다면 효용이 있을지 의문이죠

가사라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가사라
작성일 04.07 10:57
@푸른미르님에게 답글 영상내용에 의하면, 달러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유입되어 코인이 발행되고 유통되면 달러처럼 시중에서 쓰이기 때문에 시중달러유통량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이렇게 받은 달러를 가지고 (법률에 강제된 대로) 미국채를 산다면 사실은 달러가 미행정부로 이동하는 셈이 되고 이게 실질적으로는 시중은행의 대출(=신용창출)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는거죠.

저는 이 사실이 제일 놀라웠습니다.

푸른미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푸른미르
작성일 04.07 12:23
@가사라님에게 답글 스테이블 코인이 실생활에 쓰이지 않으면 유통되지 않아서 오히려 통화량이 주는 효과가 나온다는 겁니다

가사라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가사라
작성일 04.07 13:22
@푸른미르님에게 답글 가정의 영역이군요.
저도 스테이블코인의 활용규모가 얼마나 될지는 잘 모르겠고 아마 그다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은 합니다.
하지만, 잘 안 쓸 스테이블코인이라면 굳이 사지도 않을 것이므로 통화량이 주는 효과 또한 거의 없을 것이니, 통화량이 주는 효과보다는 통화량이 느는 효과가 나타날 확률이 더 크다고도 할 수는 있겠네요.

푸른미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푸른미르
작성일 04.07 14:35
@가사라님에게 답글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것은 회사들 자유니 많이 발행할 수 있죠
이 때 발행한 만큼(스테이블이니) 미국 국채를 사도록 강제 하면 달러를 흡수해서
유동성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겁니다
스테이블 코인을 매수한 사람들은 이걸 쓸 데가 없으니 자산 처럼 축적해 두는 것이니 통화량이 증가하지 않는 것이구요
만약 스테이블 코인 또는 다른 코인이 통화 처럼 거래에 빈번하게 사용되면 통화량이 증가할 수 있겠지만요

가사라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가사라
작성일 04.07 15:24
@푸른미르님에게 답글 전제에 문제가 있네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것 자체가 누군가의 달러입금을 받아서 (혹은 투자를 받아서) 페깅을 유지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자도 안나오는 스테이블코인을 왜 받으려고 입금하거나 투자할까요?
달러페깅 스테이블코인은 법적으로 1:1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푸른미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푸른미르
작성일 04.07 15:33
@푸른미르님에게 답글 @가사라님에게 답글
스테이블 코인이 어떤 이유로 유통되는지 보시면 알 수 있겠죠
코인의 환전을 위해서 거래되죠
그 코인 중에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코인이 얼마나 있나요?
즉,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기 위해 달러는 흡수되지만
스테이블 코인 또는 파생되는 코인은 유통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통화량이 증가하지 않는 다는 겁니다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