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한국어로 금을 뜻하는 순우리말

페이지 정보

1,819 조회
4 댓글
8 추천

본문


계림유사에 따르면 고려인은 금을 那論歲라고 불렀습니다. 

이건 현재 한자음으로는 나론세인데, 아마도 “누런쇠” 내지는 “노란쇠”를 음역한 것으로 보입니다. 

즉 금은 쇠의 일종으로 노란 빛의 쇠로 인식했는데 의외로 이런 사고방식은 중국어의 황금(黃金), 일본어의 코가네(こがね)와 비슷합니다. 그 언어들도 노란색+쇠붙이 정도의 조어입니다. 

다만 고려와 일본 모두 점차 那論歲, こがね의 사용빈도가 줄고 중국애서 온 金(금. キン), 黃金(황금, おうごん)이란 단어가 대체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아무래도 3음절보다 1~2음절이고 발음이 쉬워서로 보여요. 

댓글 4 / 1 페이지

츄하이하이볼님의 댓글

https://youtu.be/BTfZUOk8bwY

코가네는 노래 가사 등에서 종종 쓰이죠.

그러고보면 김씨, 소씨, 최씨가 모두 쇠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던가요.
전체 88,698 / 1 페이지
전체 검색